‘젠더폭력 예방교육의 현실과 대안: 뉴노멀과 메타버스 사이에서’ 컨퍼런스 안내

젠더교육플랫폼효재가 성평등전주 개관 2주년 기념 컨퍼런스 2의 공동주관을 하게 되었습니다.

11/12, 컨퍼런스2에서는 ‘젠더폭력 예방교육의 현실과 대안_뉴노멀과 메타버스 시대에서’ 란 주제로

황금명륜 원장님과, 정주영 교육위원님, 정희정 교육위원님이 주제발표를 하실 예정입니다.

비대면 참여도 가능하오니,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성평등전주 개관 2주년 기념 연속 컨퍼런스 성평등ⅹ사회혁신ⅹ젠더 거버넌스 「또 길을 열다」

■ 성평등 컨퍼런스 2 “젠더폭력 예방교육의 현실과 대안: 뉴노멀과 메타버스 사이에서”

– 일시: 2021년 11월 12일 금요일 오후 2시 – 5시

– 신청방법: bit.ly/또길을열다

 

★ 비대면 참여 가능(신청자 개별 참여링크 전송)
★ 자세한 내용은 전주시사회혁신센터 블로그 게시물(https://blog.naver.com/jeonjusocial_ino/222549016760)을 참고해주세요.

성평등교육 액션플래너 안내

모든 곳에 여성이 있지만 실제로 여성이 평등한 곳은
어디에도 없는 불평등 현실에 맞서 성평등한 변화를 만들어내려는 열망을 지닌 페미니스트 활동가들이 직접 실천행동을 기획하고,

실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훈련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하였습니다.

젠더교육플랫폼효재 교육위원회 정기워크숍

<성평등교육 액션플래너>

– 글로벌 성평등 변화이론과 방법론 훈련

일시     2021년 12월 4일(토)~5일(일) 10:00~17:00 / 총 12시간
장소     서울시성평등활동지원센터 교육장
강사     조영숙 젠더교육플랫폼효재 대표이사 (대한민국 양성평등 대사)
참가비 10만원(접수마감 후 계좌안내)
신청대상(총 20명) 젠더교육플랫폼효재 교육위원 or
젠더교육플랫폼효재 워크숍 1회 이상 참여자
신청방법 bit.ly/액션플랜워크숍  을 통해 신청 (참가신청 링크 : https://forms.gle/WbiYdp9MYPw5YrUj7 )
준비물   개인노트북, 자신이 해결하고 싶은 과제 선정해오기

*식사 및 숙박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사회적거리두기 단계 변화 등의 이유로 프로그램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네팔 죠티센터 건축 현장에서 소식 전합니다.

죠티센터 건축 진행상황이 많이 궁금하셨을텐데요.

지난 14일부터 약 보름간 황금명륜 원장님이 네팔로 직접 가서 죠티센터 건축을 위해

애쓰고 돌아오셨습니다.

죠티센터 건축을 위해 후원해주시고, 관심가지고 지켜봐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건축이 진행될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황금명륜 원장님의 진행상황 공유와 감사인사영상을 첨부합니다.

젠더교육플랫폼효재는 죠티센터가 무사히 완공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젠더폭력예방 통합교육 강사양성과정 > 안내

< 젠더폭력예방 통합교육 강사양성과정 >

 

1. 교육대상

– 기초과정+심화과정 : 성폭력, 성희롱, 가정폭력, 성매매 예방교육 강사활동 중이거나 폭력예방통합교육 강사가 되고자 하시는 분

– 심화과정 : 2019년 청어람 젠더폭력예방통합교육 강사양성 기초과정 수료자

 

2. 모집인원 : 총원 40명

– 각 과정 별 모집인원 미달시 본 강사양성과정이 취소될 수 있음

 

3. 교육기간 2021년 10월 2일 ~ 11월 20일(토,일요일 종일 진행)

– 기초과정 21시간 / 심화과정 70시간 / 강의시연 평가 및 수료식 9시간 (총 100시간)

– 교육시간 80%이상, 강의시연 1일 이상 참여시 수료증 발급

– 기초, 심화 과정 온라인 비대면 교육으로 진행

– 강의 일정 및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동 가능성 있음

 

4. 교육비

– 기초+심화과정 : 80만원(플랫폼효재 회원, 후원회원 20%할인 64만원)

– 심화과정 : 65만원(플랫폼효재 회원, 후원회원 20%할인 52만원)

– 참가신청 확정 후 진행팀에서 개별연락을 통해 교육비 입금 계좌 등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5. 접수방법 : 네이버폼 양식 제출 http://naver.me/x50ewfv6

6. 접수기간 : 2021년 8월 5일(목) ~ 9월 5일(일)

7. 문의 : sunmk8113@naver.com


[성희롱&성폭력 가해자 인식개선교육 진행자 양성과정 안내]



안녕하세요? 젠더교육플랫폼효재입니다.

플랫폼효재에서 성희롱 & 성폭력 가해자의 인식을 개선하는 교육 진행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공공기관, 대학, 기업 등에서 의뢰하는 1:1 개인교육과 교도소 및 보호관찰소의 수강명령에 의한

집단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본 교육과정을 수료한 후 바로 가해자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에

무경험자는 어려울 수 있으니 본인의 활동경력을 감안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일시 : 7월 31일(토)~9월 10일(일), 5주간 주말, 10~17시, 총 60시간

● 장소 : 서울시성평등활동지원센터 예정 (참가자 확정 후 추후 안내)

● 정원 : 최대 25인 (참가 신청 20인 미만 시 취소될 수 있음)

 

● 교육 대상 : 모집인원보다 신청이 많은 경우, 아래 세 가지 조건의 우선순위에 따라 서류심사하여 선발 가능

성희롱 & 성폭력 가해자교육 진행자 경험이 있는 사람
성희롱 & 성폭력 피해자 상담 등 지원활동 경력자
성희롱 & 성폭력 예방교육 경력자

 

● 참가 신청

신청 기간 : 7월 6일(화)~15일(목) (사정에 따라 조기 마감 가능)
신청 방법 : 구글 폼 작성 https://forms.gle/fKdWs77hSpN5ToXa9
증빙 서류 : 해당분야 경력증명서 또는 위촉증서 (기관/단체 발급 문서)
참가자 선발 : 7월 16일(토), 서류심사 합격자에게 개별 연락

 

● 교육비 : 1,150,000원

(플랫폼효재 회원/후원회원인 경우 20% 할인 적용으로 920,000원)

※ 교육생의 경력을 확인하여 선발하며, 교육생으로 선정 후 지정일까지

교육비 납부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대기자에게 신청권이 이월됩니다.

또한 개강 후에는 취소나 환불이 불가하니 신중하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수료 기준 : 90% 이상 출석(54시간 이상 출석)과 9&10일차 개근 필수

 

● 부분 수강 : 전 일정 참가자가 선발된 후에, 여분의 좌석에 따라 부분 수강 가능여부 및 교육비 등 세부내용을 추후 공지할 예정입니다.

 

● 특전 : 우수 수료자는 수료 후 서울/경기지역 가해자교육 요청 시 추천 가능

[제3회 KEN 워크샵] 세계여성의날 기념 한-EU 토론회 (3/8)

제3회 KEN 워크샵

 

주제

세계여성의날 기념 한-유럽 토론회: 여성인권의 성과와 미래

 

날짜 / 시간

2021년 3월 8일 / 한국 시간 오후 5시 – 7시 / 유럽시간 (CET) 오전 9시 – 11시

 

장소 / 형식

ZOOM 온라인으로 참석 가능 (https://www.kencso.org/event 에서 사전등록)

 

* 온라인 참석을 신청하신 분들에게는이메일로 줌 링크를 행사 시작 1시간 전에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 영어 발표에 대한 한국어 동시통역을 제공합니다.

 

공동 주최

한국-유럽연합 시민사회 네트워크 (KEN), 젠더교육플랫폼 ‘효재’ (GET-P)

 

아젠다

5:00 – 5:05 : 환영사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스, 주한 유럽연합 대사)

5:05 – 5:15 : 키노트 (조영숙, 양성 평등 대사, 한국여성단체연합 국제연대센터 소장)

5:15 – 5:30 : 패널 및 소속 기관 소개 (진행: 조혜림 교수)

5:30 – 6:20 : 패널 토론 (패널: 황금명륜, 서승희, 니콜라스 스펫시디스, 히야 미어스)

6:20 – 6:40 : 질의응답 (워크샵 청중의 질문을 받아 패널이 응답 예정)

6:50 – : 마무리

*상기 순서는 진행 상황에 따라 사전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발표자

조영숙 (양성평등 대사, 한국여성단체연합 국제연대센터 국제연대센터 소장)

황금명륜 (젠더교육플랫폼 ‘효재’ (GET-P) 원장)

서승희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KCSVRC) 대표)

니콜라스 스펫시디스 (헤라클리온 여성연합회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그리스))

히야 미어스 (유럽 여성개발원 (WIDE+) 코디네이터이자 이사회 회원)

 

국문 페이지:https://www.kencso.org/spring2021workshop
영문 페이지:https://en.kencso.org/spring2021workshop
등록 신청:https://forms.gle/EhkAi3n6bii2u1oh8

걸어온 길

학력

1945~1947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 수료
1948~1951      미국 University of Alabama 졸업(사회학 학사)
1953~1954      미국 Presbyterian School for Christian Education 졸업(기독교교육 석사)
1955~1957      미국 Columbia university, Graduate School for Political Science 졸업(사회학 석사)

 

교수 경력

1958~1962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개설, 조교수
1962~1967      서울여자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1968~1990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1969~1980      이화여자대학교 여성자원개발연구소 창설, 소장
1970~1971      한국사회학회 회장
1973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교육연구회 조직
1974      미국 휘스크(Fisk) 대학 객원교수
1976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 준비위원회 위원
1978      한국가족학회 초대회장
1980~1984      광주민주항쟁에 연루되어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해직
1984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복직
1990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정년퇴임

사회활동 경력

1966~1967      이스라엘 노총 초청, 이스라엘 노동조합·협동조합 시찰
1972      제1차 UN인간환경회의(스웨덴 스톡홀름), 한국여성단체협의회 대표로 참석
1975      제1차 UN 세계여성회의(멕시코) 한국대표단에 참여
1982      해직교수협의회 회장
1983~1997      여성한국사회연구회 초대 회장
1987~1990      한국여성민우회 초대 회장
1987~1998      한국여성노동자회, 한국여성노동자헙의회 이사, 이사장
1988      제2차 남북 기독자모임(스위스 글리온)에 참여
1988~1989      인천 일하는여성나눔의집 공동이사장
1988~1994      한겨레신문 이사
1989~1991      한국여성민우회 생활협동조합 이사장
1990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촌 방문 – 여성서비스 협동조합 Laguna 참관
1990~1992      한국여성단체연합 회장
1991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
1991      UNIFEM Expert Meeting on Women and Industry(인도 뉴델리) 참석
1991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동경회의 공동대표 (남북한 여성 제1차 교류)
1992      유엔인권소위원회, 정신대 문제제기
1992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제2차 서울회의, 제3차 평양회의 참석
1992~1997      한국여성사회교육원 창설, 이사장
1993      북한 전후보상대책위원회 주최 평양국제토론회 참석
1993      통일원 고문
1997~1998      사단법인 여성사회교육원 대표이사
1997~2010      진해경신사회복지재단 부설 사회복지연구소 창설 및 소장
1997~2002      여성한국사회연구소 이사장
1998~2002      진해YWCA 이사
1998~2020      창원여성의전화 고문
1999~2009      진해 여성정책발전위원회 위원
2001~2020      진해여성의전화 고문
2003~2008      진해 기적의 도서관 운영위원장

 

수상경력

1986      『분단시대의 사회학』으로 제26회 한국출판문화상
1990      심산사상연구회, 제5회 심산상
1993      여성단체협의회, 올해의여성상 (윤정옥과 공동수상)
1994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KNCC), 올해의인권상 (윤정옥과 공동수상)
1997      제14회 여성동아 대상
1997      이화여자대학교, 제3회 자랑스런이화인상
2001      비추미여성대상 해리상
2002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평화공로상
2005      제4회 유관순상
2005      제1회 허황옥평등상
2008      제1회 진해김달진문학제 특별상
2009      제19회 향기로운 시민불교문화상 특별상
2012      YWCA, 제10회 한국여성지도자상 대상

 

주요 저서

「가족과 사회」, 민조사, 1968
「도시인의 친족관계」, 한국연구원, 1971
「인간과 환경-환경교육시리즈 제1호」, 이화여대 환경교육연구회, 1973
「여성은 지역사회 주인이다-여성자원개발연구소 교육자료 1호」, 이대여성자원개발연구소, 1973
「한국 여성의 지위」 (공저), 이대 출판부, 1976
「한국 YWCA 반백년」, 대한Y연합회, 1976
「농촌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여성의 역할」 (공저), 한울아카데미, 1977
「여성의 사회의식」, 평민사, 1978
「한국 노동문제의 구조」 (공저), 광민사, 1976
「여성해방의 이론과 현실」 (편저), 창작과 비평사, 1979
「여성과 사회」, 정우사, 1979
「가족과 사회」 (개정판), 경문사, 1983
「제3세계의 도시화와 빈곤」 (공편), 한길사, 1983
「분단시대의 사회학」, 한길사, 1985
「가족연구의 관점과 쟁점」 (편저), 까치사, 1988
「한국의 여성운동-어제와 오늘」, 정우사, 1989
「여성노동시장이론」, 이화여대출판부, 1990
「여성과 사회」, 정우사, 1990
「사회학」, 경문사, 1990
「한국의 여성운동-어제와 오늘」 (증보판), 정우사, 1996
「조선사회와 가족」, 한울아카데미, 2003
「아버지 이약신 목사」, 정우사, 2006